Dotty Studio

기업가정신 & 스타트업, 그리고 기술과 디자인에 대한 곳.

첫 정모때 간단하게 다룰 내용의 매핑.

하아... FPS 게임도 꽤 오래했군.. 근 10년인가.

댓글을 달아주세요

출처: http://www.qts.co.kr/tt/index.php?pl=199

Der Apple-Monarch
Steve Jobs ist ein schwieriger Mensch. Er hasst Kritik, ist nachtragend und launisch. Doch ohne seine Visionen würde es Apple heute nicht mehr geben

von Thomas Heuzeroth

이 사나이는 사실 누구라도 정나미가 떨어지게 할 수 있는 성깔 있는 사나이다. 그는 오만하고 이기적이며, 극단을 달리는 데다가, 으스댐도 장난 아니다. 게다가 광적이고, 권력에도 굶주려 있으며, 참을성도 없다. 과대망상증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사내가 바로 스티븐 폴 잡스다. 애플 CEO, 스티브는 언제나 옳다. 스티브이니까. 그리고 "우리가 음악 사업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라는 말을 증명하는 데에도 잡스는 직설적이었다.

잡스는 누구보다도 그 점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그의 아이디어를 자찬하였다. 마치 록스타처럼, 그는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심포니홀을, 런던에서는 Billingsgate-Fischmarkt를 빌렸었다. 내일은 다시 우드스톡이다. 10시가 되면 그는 다시금 샌프란시스코의 개발자 앞에 나서서, 청바지와 검은 스웨터 차림으로 제품을 슬그머니 발표할 것이다. 이어지는 박수는 말할 것도 없고.

"타임-매거진"은 잡스의 이런 모습을 콜로세움 안의 로마 제국 황제에 비유한 적이 있다. "머큐리 뉴스"는 다만, "State of the Mac Adresses"이라고만 표현했다. 애플-시민들에게는 정말 최고의 순간이다.

스티브 쇼에서 정말 드라마틱한 순간은 이런 기조 연설 훨썬 이전부터 일어난다. 애플만큼 루머 사이트들을 잘 요리하는, 잘 이해하는 회사가 과연 있을까? 애플 사용자들 자신도 "AppleInsider"나, "MacRumors", "MacNN", "Thinksecret", "MacMinute" 등의 사이트에서 새소식 없나 두리번 거린다.

그런 까닭은 무엇보다도 스티브 잡스가 전혀 사교적이지 않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언론은 언론대로 그때문에 고생한다. 인터뷰는 10분 이상 허용이 안 되고, 일 년은 미리 예약을 받아 두어야 한다. 거대 언론사들도 마찬가지로 고생이다. 그와 인터뷰를 성사시킨 것 자체가 행운이다. 주간지인 "Die Zeit"의 한 저널리스트는 실제로 인터뷰에 들어가기 3 분 전에서야 허락을 받았고, 그렇게 해서도 "엉뚱한 질문"과 "메스껍도록 회의적인 태도"에 사과를 해야 했다. ZDF는 고가의 조명 시설과 카메라를 써 보지도 못한 채 치워야 했다. 잡스께서 인터뷰 할 마음이 싹 가셨기 때문이었다. 그런 일은 생방송에서도 일어났다. "짐이 곧 국가다."는 루이 14세만이 아니다. 잡스도 그러하다.

여하간 잡스는 극단적으로 성질을 잘 낸다. 모나 심슨과 남매라도 되잖을까. 소설, "A Regular Guy"의 저자는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의 오빠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그는 화장실 청소마저도 너무나 열성적이었다." 덕택에 남매는 관계가 차가워진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BMW Z4 시승기

소소한 하루 - 2004. 6. 28. 10:04
출처: http://blog.naver.com/ickheo/20001444374


Z3는 직접 시승을 해보질 못했다.. 왜냐면.. 그 차가 나왔을때에는 그걸 생각할만큼의 심적인 여유가 없었기때문이었다..

일주일전 예약을 해두었던.. Z4 ( Z3의 후속모델..)을 오늘 시승을 했다..


그 중간에 공식딜러 한독모터스의 영업사원인 김경주씨로 부터 전화가 왔다.. 'Z4 2.5 인데 괜찮으시겠어요? ' 당연히 내 대답은 No 였다.. 왜냐면, 내 주관은 그 모델의 최상위기종을 타보는것이 항상 후회를 하지 않는다는것이고, 무엇보다도.. 3000cc 의 배기량을 타보고 싶다는 욕심도 있었다..

모든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는 2500 cc의 퍼포먼스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할거라는 이야기도 있었고.. 어렵게 준비된 3000cc 짜리 Z4 를 타게되었다.. 오후에는 숙명여대에서 식사하고. 근처 서부역쪽의 한독모터스로 2시까지.. 약속시간에 맞추어 나갔다.. 차가 막히는지.. 아직 Z4 는 도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일단.. 같이 간 선배의 시승이 이루어지고 난다음.. 스티어링이 내 손에 넘겨졌다.. 강변북로를 통해서 자유로 까지 나가는 과정에서 선배는 내 차(Mercedes Benz E320)를 몰았다.. 물론, 칼질(차사이를 비집고 나가는것)은 많이 자제를 했다...

무엇보다도..나는 SLK (벤츠의 소형스포츠카)의 경험이 많다..SLK 에 비해 엑셀이 쉽게 가볍게 밟히는 느낌이었지만.. 그만큼 차의 반응은 상당히 민첩하다는 생각을 했다.. 비엠의 특성이다.. 벤츠는 아무래도 저속이나 변속시에는 좀 굼뜬 경향이 있다..

항상 그러하듯이.. 나는 변속시기를 보통 5600rpm 정도에 맞춘다.. 내차의 최고토크시기가 거기에 있으니.. 하지만,  이 차의 경우는 세단과는 달리 최고의 토크가 나오는 시점이 3500rpm 이기때문에.. 변속이 더 빨리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주안점을 둔 또하나는 스티어링의 반응이었다.. 물론, 차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위한 동작의 민첩성은 오히려 SLk 보다 더 안정적이었다. 시트포지션 역시.. 딱 맞게 제단된 옷을 입고 있는듯한 느낌이었다.. 차선변경시.. 더 민첩하게 반응하고.. 체감속도가 상당했다.. 저속에서.. 하지만, 160Km/h 를 넘었을때에는 나에게 오는 체감은 저속에서보다는 덜했다..SLK 가 좀 차체가 좀 무겁게 느껴지는 컨셉이라면.. Z4의 경우는 포르쉐처럼 나가라고 부추기는듯한 느낌이었다..

서스펜션은 기분이 나쁘지 않을정도로  딱딱했다..자유로의 좋지 않은 노면에서도 서스펜션은 그것을 다 받아주었다..스포츠성에 맞추어서 서스펜션이 딱딱하다면 기분은 좋지만.. 차가 튄다는 느낌을 받는다.. 단지.. 타이어의 폭때문에.. 노면을 조금 타는듯한 느낌이 들긴했지만, 나중에 선배가 몰때.. 뒤에서 본 나의 생각은 주행이 아주 안정적이라는 것이었다..

이 차의 미션은 5단 팁트로닉이다.. 이것은 자동과 수동의 혼합인데.. 벤츠의 경우는 좌우로 스틱을 움직여서 기어 변속을 한다.. 하지만, 비엠의 경우는 상하로 움직여서.. 위가 (-) 아래가 (+)이다..

5단에서 퀵다운을 하게 되면.. 4단만 내려도 힘이 바로 붙어서 올라간다.. 또한..RPM 자체에 여유가 있다.. 무슨말이냐면.. 쉽게 레드존을 rpm 게이지가 넘지를 않는다는 이야기다.. 엔진은 오늘 시승한 Z4 3.0 의 경우에는 231 마력이기때문에.. 0-100Km 까지 도달시간이 5.9 Sec 이다..  E320 이 7.9 sec 니까.. 2 초정도 차이가 나는 셈이다..

엑셀을 끝까지 밟으면 퀵다운 버튼이 있다.. 최고로 엑셀을 밟았을때.. 퀵다운 버튼이 발로 눌러지게 되면 터보차량처럼 rpm 이 뛰면서.. 바로 속도가 붙어서 올라간다..  

잘나가는 만큼 안전에 대해서도 보장 이되어 있는 차이기도 하다..무엇보다도 펑크가 나도 시속 80Km 로 150km 주행을 할수 있는 런프랫 타이어가 달려있다.. 물론,,이 타이어값이 비싸긴 하다..


롤오버 시스템 같은것도.. 좌석뒤에 붙어서.. 차량이 전복시.. 즉시 튀어나와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한다.. DSC 같은 시스템은 비엠의 거의 모든차종에 적용이 되는 주행안정시스템이다.. ESP 와 비슷하다.. 

흔히.. 중간정도가격의 소형스포츠카의 계열의 차는 Mercedes Benz의  SLK, Audi TT, BMW Z4 이다.. 모두다 각자의 좋은 성격을 가진 스포츠카이다.. 하지만.. 오늘 타본 BMW Z4의 경험은 나로 하여금.. 또다른 시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다..

이하는 보너스


댓글을 달아주세요

직장 초년 때, 의욕에 넘치고 초심의 열정을 간직하고 있을 때, 시간 관리에 대한 개념과 실천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시간 관리 같은 부분은 너무나도 쉽게 무너져버릴 수 있는 분야이니 만큼, 자기 원칙과 discipline을 키우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에는 매우 어설플 수 밖에 없어서 쉬이 좌절하고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매일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대한 시간 관리를 반복하다보면 쉽게 공허해지거나 목표 의식을 잃기 쉬우며, 거시적인 시간 관리는 추상적이고 현실감이 떨어지며 욕구불만만 가득하게 만든다.

그래서 작은 성취감부터 깨워줄 필요가 있는데, 우선 간단한 시간 관리 인터페이스를 준비한다. 인터페이스라 함은 별다를 것은 없고 시중의 프랭클린 플래너나 일일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다이어리면 무난하다. IT업계 같이 컴퓨터 앞에 오래 앉아있게 된다면 MS Office군에 포함된 Outlook이나 Mac OS X의 Calendar 같은 류도 꽤 쓸만하다.

아래의 단계나 조건들을 고려해서 일과표를 짜본다. (아래에서 '일'이라는 표현은 work의 개념보다 할일 정도의 todo 정도로 해석한다)

1. 하루 일과를 반 시간(30분) 단위로 나누어 생각한다.
2. 그날 해야할 일들과 하고 싶은일을 나열한다. (must와 want)
3. 각 일에 소요될 시간을 어림잡아 추정하여(절대 완벽하게 예측하려 하지말아야 한다) 시간을 적고, 다음 두 가지를 염두에 두고 하루 일정에 끼워 넣는다.
1) 일의 우선순위를 A, B, C 정도의 세 단계로 생각한다. (초기에는 이 분류 작업도 '일'이 되어버리니 꼭 해야할 일과 어느정도 해볼일 정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시작해도 좋을 것이다)
2) 일의 특성 상 어울리는 시간대(사람 마다 일의 집중이 잘되는 시간대가 존재하며, 밥먹는 시간 전후의 컨디션, 그날의 수면 상태 등을 고려)에 세팅한다.
4. 각 일의 dependency를 생각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일이 끝나야만 B를 할 수 있다거나)


이제 하루 일과를 수행하면서, 본인의 예측을 벗어난 경우 왜 벗어났는지를 생각하면서...

한 일에는 v 표시
없앤 일에는 x 표시
미룬 일에는 d 표시(delay)
진행 중인 일에는 o 표시(on-going)
위임한 일에는 g 표시(give; delegation으로 할 경우 위의 d와 겹침)

정도로 표시해서 그날 달성률을 생각한다.

딱딱하게 계산하거나 기록하려 하지말고, 어느 정도 습관이 붙을 정도로만 가볍게 해준다.

처음에는 시간이 많이 오버되거나 많이 남는 등, idle 타임도 많이 발생할 것이다. 아직 현장 감각이 떨어져서 그러며, 본인의 집중도 매우 stable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간의 긴장과 이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반복되는 연습 속에 습관이 붙게 되면 두 가지 '자가 수정(auto-correction)' 현상이 생겨난다.

1. 각 일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고 배분하는 것이 효율적이 된다. 정확도가 올라가며 각 일을 하루 일과에 allocate하는 것이 능숙해진다.

2. 시간에 대한 discipline이 생겨나게 된다. 흔히 '담배 타임' '웹 서핑 타임' '잡담 타임' '커피 타임' 등으로 발생하는 비관리 시간이 재할당 되며, 실제로 본인 스스로가 정한 시간에 맞추어 '순간 순간의 마감 일자'로 느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인이 할당한 업무에 집중도가 올라가 하루에 달성하는 성과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특히 시간 관리는 책 같은 것을 읽고 "그래 그래 옳은 이야기지"하고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모든 방법론을 총동원 할 생각하지말고, 초등학생 마음으로 돌아가 하루 시간표를 짜보는 것 부터 시작하다 보면 생각외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꾸준히 버릇으로 키우게 되면, 본인이 '체감'할 수 있는 업무 능률 향상과 하루에 할 수 있는 일이 정말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 dotty.
댓글을 달아주세요

Project Management에 있어서 PM의 Power(권한; 원하는 방향으로 팀원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PM+P p.125])는 5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A) Position Power (PM이라는 역할에서 생긴 직책의 권한)

1. Formal Power
공식 권한으로 작업 지시 권한 등을 의미

2. Penalty Power
팀원에게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암시를 주어 통제

3. Reward Power
승진, 급여 인상 등 팀원에게 보상을 기대하게 하여 통솔

B) Personal Power (직책이나 역할과 상관없이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능력)

4. Referent Power
팀원들이 PM을 모델로 닮고 싶어하는 데서 발생

5. Expert Power
업종 및 기술 전문성 등에서 발생


이러한 것들이 있는데, 굳이 이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각 분류가 비단 PM뿐만이 아닌 일반적인 HRM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이 아닐까 해서이다.

공대 출신의 경영인들이 일반적인 전문경영인에 비하여 갖는 우위는 바로 5번 Expert Power에 있다. 물론 4번도 어느정도 있을 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경영인의에 대한 신뢰도와 설득력의 차이는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의 깊이에 대한 일종의 후광 효과(4번과 5번의 적절한 조화)로 부터 기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회사 사장님도 경영인 자체보다 이러한 공대 출신과 개발의 경험과 통찰에서 사원들에게 보다 영향력있는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는게 아닐까.
댓글을 달아주세요

분류 전체보기 (822)
Entrepreneur (140)
Technology (265)
Design (93)
Science (22)
Thoughts (63)
소소한 하루 (184)
About (6)
me2day (40)
Paprika Lab (9)